목차 한국어판 발간에 부쳐 서장 과거 역사에 대한 시점 1. 한국 문화의 도래와 전파 = 11 2. 짓밟힌 한반도 = 17 왜구 = 17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의 조선 침략 = 18 3. 에도 시대 후기의 조선관 = 25 아라이 하쿠세키 = 25 나카이 지쿠잔 = 28 제1장 '황국사관'이 배태해 낸 정한론 1. 막부 말기의 황국사관 형성과 외정론 = 33 사토 노부히로 = 33 요시다 쇼인 = 36 2. 높아지는 정한 논의와 조선 침략책 = 41 기도 가카요시 = 41 사이고 다카모리 = 45 오쿠보 도시미치 = 48 에노모토 다케아키 = 49 이타가키 다이스케 = 50 이노우에 가오루 = 51 야마가타 아리토모 = 54 3. '보호' 명목의 무력 진출과 항일 투쟁 탄압 = 57 이토 히로부미 = 57 데라우치 마사타케 = 60 아카시 모토지로 = 61 하세가와 요시미치 = 63 사이토 마코토 = 66 고토 신페이 = 68 4. '탈아입구'에서 '무력 개혁'까지 = 70 후쿠자와 유키치 = 70 도쿠토미 소호 = 75 우치다 료헤이 = 78 학계, 언론계의 논객들 = 80 제2장 정한론의 구현, 식민지 지배로 1. '국왕 생포 작전'과 왕비 학살 = 89 일본군의 국왕 생포 작전 = 89 일본 공사에 의한 왕비 학살 = 92 2. 무력을 앞장 세워 병탄으로 = 97 일본의 각의 결정에서 엿보는 강압책 = 97 위협·강요에 의한 조약 체결 = 100 한국측의 저항, 조약의 무효 선언 = 103 3. 관동대진재 당시의 조선인 대학살 = 107 교묘하게 짜여진 '조선인 폭동설' = 107 유언비어의 제조처 = 111 군·관·민 일체의 흉행 = 114 4. 태평양 전쟁 말기의 '조선인 대책' = 120 일본 군부, 조선인 집단 이탈에 곤혹 = 120 '조선인 거세론'까지 등장 = 125 '우키시마마루 사건'의 진상 = 126 조선 총독부 귀국자의 감회 = 127 5. 침략과 전쟁에 반대, 한일 교린과 우호를 역설한 사람들 = 130 아메노모리 호슈 = 130 고토쿠 슈스이 = 132 이시카와 다쿠보쿠 = 135 나카노 시게하루 = 136 마키무라 고 = 137 요시노 사쿠조 = 139 야나이하라 다다오 = 139 야나기 무네요시 = 140 제3장 전후로 이어진 황국사관 1. 과거 사죄는 '무릎끓기 외교'인가 = 145 2. 대립이 깊어지는 '역사관' 논쟁 = 149 3. '전후 50년 국회 결의'를 둘러싼 대립 = 153 만신창이가 된 국회 결의 = 153 쏟아진 '아시아 해방 전쟁'론 = 156 무라야마 수상의 '전후 50년 담화' = 159 4. 일본의 각료와 국회의원들의 잇단 '과거 정당화' 발언 = 163 나가노 시게토 = 163 나카무라 에이이치 = 165 오쿠노 세이스케 = 166 와타나베 미치오 = 168 시마무라 요시노부 = 170 사쿠라이 신 = 172 무라야마 도미이치 = 174 에토 다카미 = 178 과거의 역사 인식에 관한 각료·국회의원 어록 = 183 한·중·일 수뇌 회담에서 일단 수습 = 188 5. 계속되는 무력에 의한 '해외 웅비' = 191 러시아 전략과 독도 강제 영유 = 191 일본군의 '3광 작전' = 195 남북 분단의 책임 = 197 '한국 조항'과 '일본의 앞뜰'론 = 200 일본의 '주변 사태'와 '유사 입법' = 205 가지야마 장관의 유사 입법 발언 = 207 코드명 '5051' = 211 식민지 지배가 너무 짧았다? = 213 제4장 남겨진 과제, '미래 지향' 1. '전후 처리'의 종막을 노리는 하시모토 내각 = 219 따라다니는 '국가주의적 냄새' = 219 하시모토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= 224 2. 교과서 문제 = 227 문부성 검정 내용이 발단 = 227 독일 교과서의 경우 = 235 '황국사관'에 선 교과서도 등장 = 237 (대동아 전쟁의 총괄)이 불러온 파문 = 240 교과서에 종군 위안부 등장 = 242 '한일 공동 역사 연구'에도 반대 = 245 3. 종군 위안부 문제 = 248 일본군 종군 위안소의 실태 = 249 전쟁터의 성의 노예, 그 참상 = 251 일본 정부의 대응과 민간 기금 방식 = 253 UN 인권 위원회도 국가 보상을 권고 = 255 아시아 여성 기금의 일부 지급 문제 = 259 종군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견해 = 265 4. 한일 기본 조약 개정 움직임 = 268 과거를 외면한 현 조약 = 269 한일 기본 조약·협정의 문제점 = 274 속출된 '망언' 사례 = 276 5.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 과제 = 281 6. 독도 영유 문제의 재연 = 288 7. '혐한'과 '반일'을 선동 = 298 글을 맺으며
목차 한국어판 발간에 부쳐 서장 과거 역사에 대한 시점 1. 한국 문화의 도래와 전파 = 11 2. 짓밟힌 한반도 = 17 왜구 = 17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의 조선 침략 = 18 3. 에도 시대 후기의 조선관 = 25 아라이 하쿠세키 = 25 나카이 지쿠잔 = 28 제1장 '황국사관'이 배태해 낸 정한론 1. 막부 말기의 황국사관 형성과 외정론 = 33 사토 노부히로 = 33 요시다 쇼인 = 36 2. 높아지는 정한 논의와 조선 침략책 = 41 기도 가카요시 = 41 사이고 다카모리 = 45 오쿠보 도시미치 = 48 에노모토 다케아키 = 49 이타가키 다이스케 = 50 이노우에 가오루 = 51 야마가타 아리토모 = 54 3. '보호' 명목의 무력 진출과 항일 투쟁 탄압 = 57 이토 히로부미 = 57 데라우치 마사타케 = 60 아카시 모토지로 = 61 하세가와 요시미치 = 63 사이토 마코토 = 66 고토 신페이 = 68 4. '탈아입구'에서 '무력 개혁'까지 = 70 후쿠자와 유키치 = 70 도쿠토미 소호 = 75 우치다 료헤이 = 78 학계, 언론계의 논객들 = 80 제2장 정한론의 구현, 식민지 지배로 1. '국왕 생포 작전'과 왕비 학살 = 89 일본군의 국왕 생포 작전 = 89 일본 공사에 의한 왕비 학살 = 92 2. 무력을 앞장 세워 병탄으로 = 97 일본의 각의 결정에서 엿보는 강압책 = 97 위협·강요에 의한 조약 체결 = 100 한국측의 저항, 조약의 무효 선언 = 103 3. 관동대진재 당시의 조선인 대학살 = 107 교묘하게 짜여진 '조선인 폭동설' = 107 유언비어의 제조처 = 111 군·관·민 일체의 흉행 = 114 4. 태평양 전쟁 말기의 '조선인 대책' = 120 일본 군부, 조선인 집단 이탈에 곤혹 = 120 '조선인 거세론'까지 등장 = 125 '우키시마마루 사건'의 진상 = 126 조선 총독부 귀국자의 감회 = 127 5. 침략과 전쟁에 반대, 한일 교린과 우호를 역설한 사람들 = 130 아메노모리 호슈 = 130 고토쿠 슈스이 = 132 이시카와 다쿠보쿠 = 135 나카노 시게하루 = 136 마키무라 고 = 137 요시노 사쿠조 = 139 야나이하라 다다오 = 139 야나기 무네요시 = 140 제3장 전후로 이어진 황국사관 1. 과거 사죄는 '무릎끓기 외교'인가 = 145 2. 대립이 깊어지는 '역사관' 논쟁 = 149 3. '전후 50년 국회 결의'를 둘러싼 대립 = 153 만신창이가 된 국회 결의 = 153 쏟아진 '아시아 해방 전쟁'론 = 156 무라야마 수상의 '전후 50년 담화' = 159 4. 일본의 각료와 국회의원들의 잇단 '과거 정당화' 발언 = 163 나가노 시게토 = 163 나카무라 에이이치 = 165 오쿠노 세이스케 = 166 와타나베 미치오 = 168 시마무라 요시노부 = 170 사쿠라이 신 = 172 무라야마 도미이치 = 174 에토 다카미 = 178 과거의 역사 인식에 관한 각료·국회의원 어록 = 183 한·중·일 수뇌 회담에서 일단 수습 = 188 5. 계속되는 무력에 의한 '해외 웅비' = 191 러시아 전략과 독도 강제 영유 = 191 일본군의 '3광 작전' = 195 남북 분단의 책임 = 197 '한국 조항'과 '일본의 앞뜰'론 = 200 일본의 '주변 사태'와 '유사 입법' = 205 가지야마 장관의 유사 입법 발언 = 207 코드명 '5051' = 211 식민지 지배가 너무 짧았다? = 213 제4장 남겨진 과제, '미래 지향' 1. '전후 처리'의 종막을 노리는 하시모토 내각 = 219 따라다니는 '국가주의적 냄새' = 219 하시모토 수상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= 224 2. 교과서 문제 = 227 문부성 검정 내용이 발단 = 227 독일 교과서의 경우 = 235 '황국사관'에 선 교과서도 등장 = 237 (대동아 전쟁의 총괄)이 불러온 파문 = 240 교과서에 종군 위안부 등장 = 242 '한일 공동 역사 연구'에도 반대 = 245 3. 종군 위안부 문제 = 248 일본군 종군 위안소의 실태 = 249 전쟁터의 성의 노예, 그 참상 = 251 일본 정부의 대응과 민간 기금 방식 = 253 UN 인권 위원회도 국가 보상을 권고 = 255 아시아 여성 기금의 일부 지급 문제 = 259 종군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견해 = 265 4. 한일 기본 조약 개정 움직임 = 268 과거를 외면한 현 조약 = 269 한일 기본 조약·협정의 문제점 = 274 속출된 '망언' 사례 = 276 5.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 과제 = 281 6. 독도 영유 문제의 재연 = 288 7. '혐한'과 '반일'을 선동 = 298 글을 맺으며
더보기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