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추천의 말 = 6 들어가는 말 = 10 Ⅰ부 87년 6월항쟁~95년까지 1. 6월항쟁과 운동의 분화 = 19 (1) 인천의 6월항쟁 = 20 (2) 노동자대투쟁과 민주노조 결성 = 22 (3) 참교육 운동 = 24 (4) 노동운동 단체의 재편 = 25 (5) 주민운동 = 32 (6) 연합운동 = 37 (7) 시민운동 = 40 2. 독자세력화와 범민주 단일화 운동 = 43 (1) 민중의 당, 한겨레민주당의 실험 = 44 (2) 첫 시의원 선거와 야권후보 단일화 = 45 (3) 14대 총선과 민중당의 실패 = 47 3. 목요회에서 인천환경운동연합까지 = 51 4. 연대의 힘, 빛을 발하다 = 65 (1) 계양산살리기 범시민운동 = 67 (2) 선인학원 사태와 시민모임 = 68 (3) 핵폐기장 철회를 위한 연대 = 70 Ⅱ부 95년 1회 동시 지방선거~2000년까지 1. '자치'를 향하여 = 77 (1)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 인천지역협의회 = 78 (2) 올바른 지방자치를 위한 시민연대 = 79 (3) 후보초청 대담 토론회를 위한 인천시민단체 준비위원회 = 80 (4) 기초단체장 토론회 = 81 (5) 공약, 선언의 요구 = 82 2. 부평시민모임에서 강화도시민연대까지 = 85 3. 지방자치단체ㆍ지방의회 감시, 참여 운동 = 97 (1) 의정 감시운동 = 98 (2) 지방자치단체 감시운동 = 101 (3)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의 연합 = 105 4. 지역현안과 시민연대 = 109 (1) 영흥도 화력발전소 반대 운동 = 110 (2) 부평미군부대 반환 운동 = 113 (3)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거부 운동 = 116 (4) 시민회관 부지 공원조성 운동 = 118 (5) 대우자동차 집단해고와 시민사회운동 = 119 (6) 해안선 철책 철거와 설치반대운동 = 120 5. 영역별 운동 = 123 (1) 교육, 청소년 운동 = 124 (2) 여성운동 = 130 (3) 시민문화 운동 = 134 (4) 환경운동 = 138 (5) 보건, 의료 운동 = 144 6. 통일운동과 북한동포돕기 운동 = 151 (1) 90년대 인천지역 통일운동 = 151 (2) 북한의 식량난과 북한동포돕기 운동 = 154 7. 노동개악법 철회 운동과 민주개혁시민연대 출범 = 159 (1) 개악법 철회운동 = 159 (2) 민주개혁시민연대 구성과 활동 = 163 8. IMF와 실업극복운동 = 167 (1) 실업극복국민운동 인천본부 발족 = 167 (2) 1만세대 겨울나기 쌀모으기 운동 = 169 (3) 여성실업대책 인천본부 및 여성노조 결성 = 170 (4) 실직자 일자리 사업 = 172 (5) 자활후견기관 사업 = 174 Ⅲ부 2000년 낙천낙선운동~2007년 1. 낙선운동, 당선운동 = 177 (1) 행동연대, 시민연대 = 178 (2) 2002 지방선거와 '시민의 힘' = 181 (3) 총선인천시민연대, 인천총선시민연대 = 183 (4) 인천여성 맑은정치네트워크 = 184 (5) 2006 지방선거 인천시민연대 = 185 2. 2000년대 발족 단체 = 187 3. 지역현안과 연대 = 203 (1) 동양화학 폐석회 처리 운동 = 207 (2) 경인운하 건설 반대 운동 = 210 (3) 수인선 지상화 반대 운동 = 214 (4) 문학산 패트리어트미사일 계획 철회 운동 = 217 (5) 계양산 화약고 건설저지 운동 = 220 (6) 학교급식 환경개선 조례제정 운동 = 222 (7) 공항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운동 = 223 (8) 계양산 골프장 건설 반대 운동 = 224 (9) 배다리지키기 시민운동 = 226 4. 우리민족대회와 평화 통일운동 = 229 (1) 인천 우리민족대회 = 229 (2) 2000년대 평화통일운동 = 232 5. 이주노동자ㆍ이주여성의 인권운동 = 237 (1) 이주노동자 인권단체의 결성 = 239 (2) 불법체류자 합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 = 240 (3) 이주여성 인권운동 = 242 (4) 다문화 가정, 다문화 공동체 = 243 6. 포럼의 정례화 = 245 맺음말 = 252
목차 추천의 말 = 6 들어가는 말 = 10 Ⅰ부 87년 6월항쟁~95년까지 1. 6월항쟁과 운동의 분화 = 19 (1) 인천의 6월항쟁 = 20 (2) 노동자대투쟁과 민주노조 결성 = 22 (3) 참교육 운동 = 24 (4) 노동운동 단체의 재편 = 25 (5) 주민운동 = 32 (6) 연합운동 = 37 (7) 시민운동 = 40 2. 독자세력화와 범민주 단일화 운동 = 43 (1) 민중의 당, 한겨레민주당의 실험 = 44 (2) 첫 시의원 선거와 야권후보 단일화 = 45 (3) 14대 총선과 민중당의 실패 = 47 3. 목요회에서 인천환경운동연합까지 = 51 4. 연대의 힘, 빛을 발하다 = 65 (1) 계양산살리기 범시민운동 = 67 (2) 선인학원 사태와 시민모임 = 68 (3) 핵폐기장 철회를 위한 연대 = 70 Ⅱ부 95년 1회 동시 지방선거~2000년까지 1. '자치'를 향하여 = 77 (1)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 인천지역협의회 = 78 (2) 올바른 지방자치를 위한 시민연대 = 79 (3) 후보초청 대담 토론회를 위한 인천시민단체 준비위원회 = 80 (4) 기초단체장 토론회 = 81 (5) 공약, 선언의 요구 = 82 2. 부평시민모임에서 강화도시민연대까지 = 85 3. 지방자치단체ㆍ지방의회 감시, 참여 운동 = 97 (1) 의정 감시운동 = 98 (2) 지방자치단체 감시운동 = 101 (3)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의 연합 = 105 4. 지역현안과 시민연대 = 109 (1) 영흥도 화력발전소 반대 운동 = 110 (2) 부평미군부대 반환 운동 = 113 (3)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거부 운동 = 116 (4) 시민회관 부지 공원조성 운동 = 118 (5) 대우자동차 집단해고와 시민사회운동 = 119 (6) 해안선 철책 철거와 설치반대운동 = 120 5. 영역별 운동 = 123 (1) 교육, 청소년 운동 = 124 (2) 여성운동 = 130 (3) 시민문화 운동 = 134 (4) 환경운동 = 138 (5) 보건, 의료 운동 = 144 6. 통일운동과 북한동포돕기 운동 = 151 (1) 90년대 인천지역 통일운동 = 151 (2) 북한의 식량난과 북한동포돕기 운동 = 154 7. 노동개악법 철회 운동과 민주개혁시민연대 출범 = 159 (1) 개악법 철회운동 = 159 (2) 민주개혁시민연대 구성과 활동 = 163 8. IMF와 실업극복운동 = 167 (1) 실업극복국민운동 인천본부 발족 = 167 (2) 1만세대 겨울나기 쌀모으기 운동 = 169 (3) 여성실업대책 인천본부 및 여성노조 결성 = 170 (4) 실직자 일자리 사업 = 172 (5) 자활후견기관 사업 = 174 Ⅲ부 2000년 낙천낙선운동~2007년 1. 낙선운동, 당선운동 = 177 (1) 행동연대, 시민연대 = 178 (2) 2002 지방선거와 '시민의 힘' = 181 (3) 총선인천시민연대, 인천총선시민연대 = 183 (4) 인천여성 맑은정치네트워크 = 184 (5) 2006 지방선거 인천시민연대 = 185 2. 2000년대 발족 단체 = 187 3. 지역현안과 연대 = 203 (1) 동양화학 폐석회 처리 운동 = 207 (2) 경인운하 건설 반대 운동 = 210 (3) 수인선 지상화 반대 운동 = 214 (4) 문학산 패트리어트미사일 계획 철회 운동 = 217 (5) 계양산 화약고 건설저지 운동 = 220 (6) 학교급식 환경개선 조례제정 운동 = 222 (7) 공항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운동 = 223 (8) 계양산 골프장 건설 반대 운동 = 224 (9) 배다리지키기 시민운동 = 226 4. 우리민족대회와 평화 통일운동 = 229 (1) 인천 우리민족대회 = 229 (2) 2000년대 평화통일운동 = 232 5. 이주노동자ㆍ이주여성의 인권운동 = 237 (1) 이주노동자 인권단체의 결성 = 239 (2) 불법체류자 합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 = 240 (3) 이주여성 인권운동 = 242 (4) 다문화 가정, 다문화 공동체 = 243 6. 포럼의 정례화 = 245 맺음말 = 252
더보기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