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업소개
사업소개
국가전자도서관 참여기관
국가전자도서관
주관 운영 : 국립중앙도서관
참여기관 | 주제분야 |
---|---|
국립중앙도서관 | 한국 관련자료 및 인문과학 분야 |
국방대학교 전자도서관 | 국방, 안보 분야 |
국회도서관 | 입법관련 정보 및 사회과학 분야 |
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| 농학과학 정보 |
법원도서관 | 사법 정보 |
질병관리청 국립의과학지식센터 | 의과학 정보 |
한국과학기술원 도서관 | 과학기술 정보 |
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| 과학기술 연구정보 |
한국교육학술정보원 | 대학 학술 연구정보 |
기대효과
대국민 정보서비스 측면
- 국가전자도서관 시스템 안정화 및 성능개선에 따른 대민 서비스 향상
- 정보획득시간 단축으로 국내연구자들의 연구력 증진
-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원문정보 서비스의 지원으로 국민의 정보획득 비용 및 노력 절감
국가 경쟁력 제고 측면
- 기존 전자도서관 시스템의 적극 재활용과 국가자료 구축 및 DB 운영에 따른 비효율성 제거를 통한 예산 절감
- 국가자료(원문, 목차, 초록 등)의 중복 구축을 최소화하여 효율성 및 경제성 제고
- 명실상부한 전자도서관 표준 모델 확립을 통한 국내 타 전자도서관 구축의 가이드라인 제시
- 저작권 자료 이용 및 보호의 안정적 토대 마련을 통한 저작물 유통의 활성화에 기여
- 도서관간 정보공유 체제 강화를 통한 중복 투자 방지
- 국가 자료의 일관되고 안정화된 서비스 및 관리 체계 확립을 통해 지식기반 사회의 조기 확립에 기여
“국가 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 강화”
국가적 측면
이용자 측면
기관/도서관 측면
운영자 측면
국가적 측면
- 국가적 자료에 대한 일관되고 안정화된 서비스 및 관리체계확립을 통한 지식기반 사회의 조기정착에 기여
- 저작권 자료 이용 및 보호의 안정적 토대 마련을 통한 저작물 유통의 활성화에 기여
이용자 측면
- 안정적인 서비스 이용
- 통합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한 One-Stop 서비스 이용가능
- 기존의 여러개의 클라이언트 및 뷰어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제거
기관/도서관 측면
- 명실상부한 전자도서관 표준 모델 확립을 통한 국내 타 전자도서관 구축의 가이드라인 제시
- 기존 전자도서관 시스템의 적극 재활용을 통한 예산 절감
운영자 측면
- 도서관 정보 공유 체제 강화를 통한 중복투자 방지
- 국가자료 구축 및 DB 운영에 따른 비효율성 제거를 통한 인력 · 예산절감
- 국가자료(원문,목차,초록)의 구축시 중복을 최소화하여 효율성 및 경제성 제고